-
애플, 취리히 비밀 AI 연구소 설립과 MM1 모델 개발인공지능 2024. 5. 4. 19:05
애플은 최근 AI 분야에서의 진전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비밀 AI 연구소의 존재와 그곳에서 개발된 새로운 이미지-텍스트 멀티모달 모델 'MM1'에 관한 것입니다. 이 뉴스는 AI 기술의 미래와 애플의 AI 전략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1. 비밀 연구소와 전략적 인력 영입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몇 년 간 최소 36명의 AI 전문가를 구글을 비롯한 다른 기술 거인들로부터 영입했습니다. 이들은 취리히의 연구소에서 근무하며 애플의 AI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이를 통해, 특히 이미지 인식과 가상현실 기술을 중심으로 스위스 지역 스타트업 인수와 현지 연구 개발 활동을 강화했습니다.
애플은 최근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비전 랩(Vision Lab)'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을 위해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소는 고급 AI 모델을 개발하며, 특히 이미지 인식과 가상현실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애플은 이 연구소에서 구글과 같은 다른 기술 대기업에서 AI 전문가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는데, 이들은 챗GPT와 유사한 AI 챗봇을 구동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9to5Mac) (Business Today).
2. MM1 모델의 혁신적 기능
애플의 'MM1' 모델은 이미지를 읽고 자연어로 설명하는 능력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첨단 AI 기술입니다. 이 모델은 300억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VQA(Visual Question Answering) 벤치마크에서는 OpenAI의 GPT-4V와 Google의 Gemini Ultra를 일부 추월하는 인상적인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MM1의 높은 성능은 '전문가 혼합(MoE, Mixture of Experts)'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상황에 최적화된 모델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전문가 혼합 방식은 여러 개의 작은 모델(전문가)을 조합해 하나의 큰 모델로 구성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각 전문가가 특정 태스크에 특화되어 처리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전체 모델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특히 대규모 매개변수 모델에서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 처리 속도와 응답 시간을 개선합니다.
MM1이 제공하는 이러한 고급 기능은 애플이 모바일 기기와 같은 온디바이스 플랫폼에서도 강력한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줍니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고성능 AI가 기기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https://arxiv.org/abs/2403.09611
Apple MM1 모델 3. 온디바이스 AI의 강화
애플은 MM1 모델을 온디바이스 AI 솔루션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는 아이폰과 같은 디바이스에 직접 탑재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분석하고 설명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인터넷이나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AI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애플이 스위스 취리히에 비밀 연구소를 설립하고 고급 AI 모델 개발에 집중하는 것은 그들의 '온디바이스 AI' 전략을 더욱 발전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며, 이는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기기 자체에서 AI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개발은 애플이 AI 기술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향후 시장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 보입니다.
4. 미래 전략과 발표 예정
애플의 이러한 움직임은 AI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 몇 년간 AI에 대한 애플의 연구 및 개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과 일치합니다. 특히, 애플은 오는 6월에 예정된 세계 개발자 회의(WWDC)에서 AI 기술에 대한 큰 발표를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이 자리에서는 Siri의 성능 개선뿐만 아니라, iOS 18에서 AI 기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AppleInsider).
결론
애플의 이번 움직임은 AI 기술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려는 전략적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AI 기술의 현지화와 온디바이스 처리 능력 강화는 애플의 제품과 서비스에서 보다 많은 혁신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Apple MM1: Methods, Analysis & Insights from Multimodal LLM Pre-training 애플, 온디바이스 AI를 위한 오픈 소스 소형언어모델 '오픈ELM'
애플의 전략적 변화와 오픈 소스의 진화애플이 최근 발표한 '오픈ELM(OpenELM)'은 단순한 언어 모델을 넘어서서 기술 산업에 일대 혁신을 가져올 전망입니다. 이 오픈 소스 소형언어모델(sLM)은 기기
triangular.tistory.com
온디바이스 AI: 기술적 배경, 이점, 사례, 도전 과제, 미래 전망
온디바이스 AI 정의 온디바이스 AI는 인공지능 기술이 사용자의 기기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학습 및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외부 서
triangular.tistory.com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 Insights, 2024년 AI 100 리스트 분석: 미국 기업의 압도적 선도와 전 세계 AI 산업 동향 (0) 2024.05.05 인텔, 구글, AI 반도체 시장의 치열한 경쟁에 참전 (1) 2024.05.04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에셋 창작 기술 동향 (1) 2024.05.02 인공신경망 경량화 기술의 배경, 필요성, 주요기술 (0) 2024.05.02 애플, 온디바이스 AI를 위한 오픈 소스 소형언어모델 '오픈ELM' (0) 2024.04.29